본문 바로가기
[C# 기초] 배열 배열 배열은 하나의 변수 안에 같은 타입의 여러 데이터를 저장 할 수 있다 선언시 크기가 고정되며 크기는 수정이 불가능하다고는 하는데 메소드를 통해 바꿀 수는 있다 다만 메소드를 사용해서 크기를 바꾸면 새로운 크기의 배열을 만들고 거기 내용을 붙여넣는 식이라 엄밀히 따지면 수정이 안되는게 맞다 선언 자료형[] 배열이름; 형태로 선언한다 자료형 부분에는 예를 들어 int 배열이면 int 를 적어주면 된다 다차원 배열을 만들려면 자료형[,] 배열이름; 을 사용하자 초기화 배열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초기화 하여 메모리에 등록해야한다 초기화 코드는 다음과 같다 배열이름 = new 타입[배열의 크기]; 배열의 크기는 원하는 크기를 지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6칸짜리(0~5) 의 배열을 만들고 싶으면 6을 적어준다 선.. 2024. 2. 6.
C# 기초 기본 자료형 자료형 bool 참(true) 또는 거짓(false) 값을 표현 byte 부호 없는 매우 작은 정수 값을 표현 (0~255) sbyte 부호 있는 매우 작은 정수 값을 표현 (-128~127) char 한 문자를 표현 decimal 고정 소수점 숫자를 표현 (주로 금융 계산에 사용) double 큰 부동 소수점 숫자를 표현 float 작은 부동 소수점 숫자를 표현 int 부호 있는 정수 값을 표현 uint 부호 없는 정수 값을 표현 long 매우 큰 부호 있는 정수 값을 표현 ulong 매우 큰 부호 없는 정수 값을 표현 short 작은 부호 있는 정수 값을 표현 ushort 작은 부호 없는 정수 값을 표현 string 문자열을 표현 선언 자료형 변수명 = 값 ; 자료형은 일반적으로 위와 같은 코드 형태.. 2024. 2. 6.
SAP ERP의 Batch와 Lot Batch 배치는 material master 레코드의 하위에 들어가는 단위로 생산 물품 내에 구분되는 개별 생산 단위를 의미한다 말이 어려운데 쉽게 설명하자면 저 위의 그림에서 023이라는 타입의 물건을 생산한다고 치자 해당 물건으로 간주할 수 있는 범위는 바로 아래의 표에 나와있다 이 때 물건을 생산할 때 한 번에 생산해서 나온 물건들이 각각의 배치가 된다 똑같은 물건을 만들려고 했지만 당연히 일자마다 생산되는 물건이 완전히 같지는 않을 것이고 서로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게 된다 이 약간의 차이가 각 배치의 차이점이다 그러면 배치를 관리하는 이유는 뭘까? 배치를 관리하면 물건 상태를 관리하기가 쉽다 어떤 물건에 문제가 생겼을 때 그 물건이 해당하는 배치를 확인하면 물건의 전량 회수도 쉽고 어느 범위까지.. 2024. 2. 6.
SAP ERP의 분류 구조 클래스, 클래스 타입 (Class , Class Type) 클래스는 공통된 특성을 가진 항목들의 그룹이다 예를 들어서 운동화, 축구화, 구두 등등이 각각의 클래스가 된다 클래스 유형은 클래스를 다시 한번 그룹화 하는데 위에 예시로 들었던 클래스를 클래스 타입으로 묶는다면 제품, 혹은 신발 등으로 클래스 타입을 지정할 수 있다 특성(Characteristics) 특성은 클래스를 구성하는 항목의 속성이다 예를 들어 운동화의 특성은 재질, 사이즈, 무게 등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특성 값 특정한 속성의 세부 사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냥 가지고 있는 특성의 값을 나타낸다 위 처럼 재질이나 사이즈를 특성으로 가진다면 매쉬, 270 사이즈 이렇게 구분 할 수 있다 객체(object) 객체는 클래스에 속한 개별 항목으.. 2024. 2. 6.
C# 기초 Console.Write , Console.WriteLine 출력하기 Console 출력 C# 에서 문자열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Console.Write나 Console.WriteLine을 사용해야한다 둘의 차이점은 Write는 줄바꿈을 하지 않고, WriteLine은 줄바꿈을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Console.Write('안'); Console.Write('녕'); 을 출력하면 줄바꿈을 하지 않기 때문에 안녕이 출력되지만 만약 WriteLine을 사용했다면 안 녕 으로 출력이 된다 문자열과 변수 기본적으로 Write 문은 문자열 혹은 변수를 출력한다 Console.WriteLine("안녕하세요"); Console.WriteLine(a); 위 문장은 문자열을 출력하고 아래는 변수 a를 출력한다 물론 변수와 문자열을 혼합해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Console.Writ.. 2024. 2. 5.
C# 기초 Console 클래스 함수 Console 클래스의 함수 Clear() 콘솔 창 내용을 삭제 Beep() 신호음 재생 Resetcolor() 콘솔 창 색을 기본값으로 변경 Write() 문자열 혹은 변수를 출력 (줄바꿈 X) WriteLine() 문자열 혹은 변수를 출력 (줄바꿈 O) Read() 단일 문자의 아스키 값 반환 ReadLine() 문자열 입력 ReadKey() 입력한 이름을 반환 반환값은 STRUCT 데이터 사용 방법 Console.함수 ; 형태로 사용 2024. 2. 5.
SAP ERP의 Material Master Material Master(재료 마스터) 회사가 구축, 조달, 제조, 저장, 판매하는 재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Material Master Record에 통합되어 해당 정보는 회사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여기서 재료는 완제품, 반자재, 원자재다 영역별로 마스터 뷰를 다르게 설정 가능하고 책임 영역에 따라 데이터를 세분화 하기도 한다 조직 수준 재료 마스터는 모든 수준에서 유효한 데이터(전반적인 재료)나 아니면 특정 수준에서 유효한 데이터(MRP) 등으로 나누어진다 쉽게 이해하자면 SAP ERP의 계층 단위에서 상위 계층으로 갈 수록 범용성이 넓은 데이터를 다루고 하위 단계에 갈수록 지엽적인 데이터를 다루게 되며 계층별로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가 저장된다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생성하기.. 2024. 2. 2.
SAP ERP의 MRP 영역 MRP 영역이란? Material Requirement Plan 즉 mrp 영역은 물자 요구 계획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조직단위다 일반적으로 mrp 영역 단위로 자재를 공급하는 공급 계획을 분리하는 논리적 단위다 다만 물리적으로 위치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MRP영역은 Plant의 하위 레벨에 위치하지만 Plant를 포함 할 수도 있다 단위를 나누는 시간 기준은 지정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는 1주일이라고 한다 MRP 영역을 쉽게 이해해보자면 당신은 햄버거 가게를 하고 있다 햄버거 가게를 운영하려면 재료의 재고가 남아 있어야 한다 이 때 당신은 햄버거 패티를 만드는 패티 라인과, 빵을 굽는(진짜 굽나?) 라인의 자재 소요량을 같이 파악하고 같이 발주를 내고 싶다 이런 경우 패티 라인과 빵을 굽는 라인.. 2024. 2. 1.
SAP ERP의 Plant Plant 플랜트는 모든 물류 모듈에서 사용되는 뮬류 기반 조직 요소로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가 가능하다 앞의 게시글에서는 우선 공장으로 정의 했지만 사실 공장 외에도 다양한 정의가 존재한다 목적 정의 생산(produced) 공장(factories) 저장(stored) 창고(warehouses) 소비(consumed) 본사(headquarters) 공급(distributed) 영업소(sales offices) 다음은 각각의 목적에 따른 Plant의 정의다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plant는 공장이고,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plant는 창고가 된다 여기서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창고는 공장 아래의 n번 창고 이런 느낌이 아니라 진짜 저장만을 위한 건물 느낌으로 이해하면 된다 소비 목적으로는 본사라고 적혀있.. 2024. 1. 31.
SAP ERP의 Sales Area SAP의 기본 구조도 Sales Organization(판매 조직) 기업의 판매 전략과 관련된 여러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역할으로 판매 및 유통 프로세스 전반을 관리한다 간단히 예를 들자면 휴대폰을 판매해야 하는 경우 크게는 오프라인 판매와 온라인 판매로 방식을 구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오프라인 판매 조직과 온라인 판매 조직으로 나누어서 각각 조직의 결정을 관리한다 Distribution channel(유통채널) 유통채널은 판매 조직 아래에서 판매 가능한 재료나 서비스 등을 고객에게 도달하게 하는 수단을 정의한다 크게 오프라인 판매 조직을 예로 들면 신발을 판매할 때 자체 매장에서 판매를 하는 경우도 있고, 혹은 재고처리로 아울렛에서 70퍼씩 할인 해서 판매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자체 매장.. 2024. 1.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