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P ERP의 Work Center, Capacity Work Center 워크센터는 제조 과정에서 특정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위치를 정의한다 쉽게 이해하자면 제조 라인을 워크센터라고 이해하면 편하다 워크센터를 정의 할 때는 예상 완료시간, 최대 작업 용량, 노동 비용, 재료 비용 등을 정의한다 Capacity Capacity는 특정한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종류로는 Machine capacity, Personnel capacity, Production Capacity 등이 있다 각각 기계 용량(기계가 작업 가능한 시간) , 노동 용량(사람이 작업 가능한 시간), 생산 용량(시간당 생산 가능한 물품 수량) 을 의미하며 여기서 앞의 두 개의 용량은 일반적으로 단위가 시간이고 생산 용량은 단위가 수량/시간이다 단위가 시간으로 다루어져서 이 용량.. 2024. 4. 16. SAP ERP BOM의 구조, 구성, BOM 폭발 BOM의 구조 BOM에 전체적으로 적용되는 내용은 헤더에서 정의가 된다 이후 각각의 구성 요소는 Item에서 정의하게 된다 Item의 아래에는 Subitem을 둘 수 있는데 같은 Item이지만 사용하는 위치가 다른 경우 subitem을 지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서 자동차를 생산할 때 엔진에 쓰는 나사와 바퀴의 쓰는 나사가 동일한 경우 Item은 같지만 사용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을 subitem으로 관리한다 subitem은 개별 항목으로 따로 계산되지는 않고 Item에 합산된 수량을 계산하게 된다 Low - level code Low - level code는 bom에서 가장 작은 단위 수준으로 최하위 재료를 의미한다 위 그림에서 slug가 최하위 재료가 된다 최하위 재료를 기준으로 원가 계산 및 MRP.. 2024. 3. 4. SAP ERP BOM과 BOM의 종류 BOM이란? 제품이나 조립품을 구성하는 부품들에 대한 구조화된 목록이다 쉽게 말하면 제품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목록이다 하나 이상의 어셈블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영역의 기반 데이터로 활용된다 위의 그림처럼 생긴걸 어셈블리라고 한다 BOM의 종류 Matertial BOM 일반적으로 BOM하면 떠올리는 그 BOM으로 제품의 구조를 표현하는데 사용한다 Order BOM Order BOM은 기존에 가지고 있는 BOM에서 특정 주문에 맞게 몇몇 재료를 바꿨는데 바꾼 BOM을 따로 저장하지 않고 싶을 때 사용하는 BOM이다 예를 들자면 자동차의 BOM이 있는데 원래 BOM에서 특별 주문으로 범퍼를 바꿨는데 해당 범퍼를 바꾼 BOM을 다시 쓸 일은 없을것 같을 때 Order BOM으로 만들어서 바뀐 내용을 따.. 2024. 3. 4. SAP ERP의 Batch와 Lot Batch 배치는 material master 레코드의 하위에 들어가는 단위로 생산 물품 내에 구분되는 개별 생산 단위를 의미한다 말이 어려운데 쉽게 설명하자면 저 위의 그림에서 023이라는 타입의 물건을 생산한다고 치자 해당 물건으로 간주할 수 있는 범위는 바로 아래의 표에 나와있다 이 때 물건을 생산할 때 한 번에 생산해서 나온 물건들이 각각의 배치가 된다 똑같은 물건을 만들려고 했지만 당연히 일자마다 생산되는 물건이 완전히 같지는 않을 것이고 서로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게 된다 이 약간의 차이가 각 배치의 차이점이다 그러면 배치를 관리하는 이유는 뭘까? 배치를 관리하면 물건 상태를 관리하기가 쉽다 어떤 물건에 문제가 생겼을 때 그 물건이 해당하는 배치를 확인하면 물건의 전량 회수도 쉽고 어느 범위까지.. 2024. 2. 6. SAP ERP의 분류 구조 클래스, 클래스 타입 (Class , Class Type) 클래스는 공통된 특성을 가진 항목들의 그룹이다 예를 들어서 운동화, 축구화, 구두 등등이 각각의 클래스가 된다 클래스 유형은 클래스를 다시 한번 그룹화 하는데 위에 예시로 들었던 클래스를 클래스 타입으로 묶는다면 제품, 혹은 신발 등으로 클래스 타입을 지정할 수 있다 특성(Characteristics) 특성은 클래스를 구성하는 항목의 속성이다 예를 들어 운동화의 특성은 재질, 사이즈, 무게 등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특성 값 특정한 속성의 세부 사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냥 가지고 있는 특성의 값을 나타낸다 위 처럼 재질이나 사이즈를 특성으로 가진다면 매쉬, 270 사이즈 이렇게 구분 할 수 있다 객체(object) 객체는 클래스에 속한 개별 항목으.. 2024. 2. 6. SAP ERP의 Material Master Material Master(재료 마스터) 회사가 구축, 조달, 제조, 저장, 판매하는 재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Material Master Record에 통합되어 해당 정보는 회사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여기서 재료는 완제품, 반자재, 원자재다 영역별로 마스터 뷰를 다르게 설정 가능하고 책임 영역에 따라 데이터를 세분화 하기도 한다 조직 수준 재료 마스터는 모든 수준에서 유효한 데이터(전반적인 재료)나 아니면 특정 수준에서 유효한 데이터(MRP) 등으로 나누어진다 쉽게 이해하자면 SAP ERP의 계층 단위에서 상위 계층으로 갈 수록 범용성이 넓은 데이터를 다루고 하위 단계에 갈수록 지엽적인 데이터를 다루게 되며 계층별로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가 저장된다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생성하기.. 2024. 2. 2. SAP ERP의 MRP 영역 MRP 영역이란? Material Requirement Plan 즉 mrp 영역은 물자 요구 계획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조직단위다 일반적으로 mrp 영역 단위로 자재를 공급하는 공급 계획을 분리하는 논리적 단위다 다만 물리적으로 위치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MRP영역은 Plant의 하위 레벨에 위치하지만 Plant를 포함 할 수도 있다 단위를 나누는 시간 기준은 지정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는 1주일이라고 한다 MRP 영역을 쉽게 이해해보자면 당신은 햄버거 가게를 하고 있다 햄버거 가게를 운영하려면 재료의 재고가 남아 있어야 한다 이 때 당신은 햄버거 패티를 만드는 패티 라인과, 빵을 굽는(진짜 굽나?) 라인의 자재 소요량을 같이 파악하고 같이 발주를 내고 싶다 이런 경우 패티 라인과 빵을 굽는 라인.. 2024. 2. 1. SAP ERP의 Plant Plant 플랜트는 모든 물류 모듈에서 사용되는 뮬류 기반 조직 요소로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가 가능하다 앞의 게시글에서는 우선 공장으로 정의 했지만 사실 공장 외에도 다양한 정의가 존재한다 목적 정의 생산(produced) 공장(factories) 저장(stored) 창고(warehouses) 소비(consumed) 본사(headquarters) 공급(distributed) 영업소(sales offices) 다음은 각각의 목적에 따른 Plant의 정의다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plant는 공장이고,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plant는 창고가 된다 여기서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창고는 공장 아래의 n번 창고 이런 느낌이 아니라 진짜 저장만을 위한 건물 느낌으로 이해하면 된다 소비 목적으로는 본사라고 적혀있.. 2024. 1. 31. SAP ERP의 Sales Area SAP의 기본 구조도 Sales Organization(판매 조직) 기업의 판매 전략과 관련된 여러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역할으로 판매 및 유통 프로세스 전반을 관리한다 간단히 예를 들자면 휴대폰을 판매해야 하는 경우 크게는 오프라인 판매와 온라인 판매로 방식을 구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오프라인 판매 조직과 온라인 판매 조직으로 나누어서 각각 조직의 결정을 관리한다 Distribution channel(유통채널) 유통채널은 판매 조직 아래에서 판매 가능한 재료나 서비스 등을 고객에게 도달하게 하는 수단을 정의한다 크게 오프라인 판매 조직을 예로 들면 신발을 판매할 때 자체 매장에서 판매를 하는 경우도 있고, 혹은 재고처리로 아울렛에서 70퍼씩 할인 해서 판매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자체 매장.. 2024. 1. 31. SAP ERP의 구매 그룹과 구매 조직 SAP ERP의 구조도 Purchasing organization(구매 조직) 기업의 구매 활동을 관리하는 조직적 단위로 주로 전략적 구매 결정을 내리는 역할이다 예를 들어 제조업 회사에 자재를 구매해야한다고 치자 그러면 크게는 국내 구매와 해외 구매로 구매 업무가 나누어질텐데 이 경우 각각 국내 구매 조직과, 해외 구매 조직으로 나누어 관리 할 수 있다 이런 구매 조직들은 각각 국내 자재 구매 전략을 수립하게 된다 Purchasing Group(구매 그룹) 구매 그룹은 구매 조직 아래에서 조직의 전략에 맞게 실질적으로 구매 활동을 하는 조직이다 구매 부서가 될 수도 있을 것이고 혹은 구매 담당자가 될 수도 있다 2024. 1. 3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