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트형
리스트는 요소를 [] 형태로 저장한다
리스트 안에는 모든 것이 들어갈 수 있으며 리스트안에 리스트를 넣는것도 가능하다
range()함수로 리스트 만들기
range()함수는 (a:b:c) 형태로 값을 받는다
a는 시작 숫자, b는 끝 숫자+1, c는 규칙
range() 함수로 리스트를 만들때는
list(range())형태로 리스트를 만들면 된다
리스트 인덱싱
리스트는 개별 요소가 0부터 시작하여 인덱스가 정해진다
역순 인덱스는 -1 부터 시작한다
[1,2,3,4]
1 | 2 | 3 | 4 |
0 | 1 | 2 | 3 |
-4 | -3 | -2 | -1 |
변수[a] 로 리스트의 값을 인덱싱 할 수 있다
만약 리스트의 값이 [1,[10,11],2,3]
으로 저장되어 있는데 11을 인덱싱하고 싶다면
변수[1][1] 의 형태로 순서대로 인덱싱을 하면 된다
슬라이싱
변수[a:b:c] a는 시작 숫자, b는 끝 숫자+1, c는 규칙
주의할 점은 a가 b보다 작아야한다는 점이다 같아도 문제는 없는데 대신 []가 출력된다
연산
리스트는 +와 * 연산이 가능하다
+를 하는 경우 앞 리스트에 뒤에 리스트가 합쳐지며, * 연산을 하면 해당 숫자만큼 리스트가 반복된다
여기서 * 뒤에는 정수만 들어갈 수 있다
'파이썬 > 파이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기초 - 집합 (0) | 2023.08.15 |
---|---|
파이썬 리스트 수정, 추가, 삭제 (0) | 2023.08.15 |
파이썬 문자열 메소드 정리 (0) | 2023.08.13 |
파이썬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2) | 2023.08.13 |
파이썬 문자열 다루기 기초 (줄 바꾸기, 연산자, .format , f-string) (0) | 2023.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