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열 인덱스 이해
파이썬의 문자열은 해당 0부터 시작해서 한 글자마다 한 칸의 자리를 가지고있다
큰 | 고 | 양 | 이 |
0 | 1 | 2 | 3 |
-4 | -3 | -2 | -1 |
'큰고양이' 라는 문자열의 인덱스는 다음과 같다
정방향으로 시작할때는 0부터 시작하고 마지막 글자부터 시작할때는 -1 부터 시작한다
해당 자리의 글자를 불러오는 것을 인덱싱이라고 한다
인덱싱
그냥 원하는 글자를 가져온다고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어 고 라는 글자를 가져오고 싶으면
변수[1] 혹은 변수[-3] 을 사용하면 된다
a = '큰고양이'
print(a[1])
print(a[-3])
슬라이싱
여러 값을 중간에 잘라서 가져오고 싶을때 사용한다
변수[시작:마지막+1:규칙] 으로 사용한다
두 번째 자리는 해당 숫자의 앞자리 까지만 가져오니 사용할때 주의하자
시작이나 마지막 자리를 비워둔 상태로 두면 앞부분 전체, 혹은 뒷부분 전체를 가져온다
규칙은 따로 입력하지 않으면 하나씩 가져오며
따로 숫자를 입력하면 해당 숫자만큼 건너뛰며 값을 가져온다
-1을 입력하면 역순으로 가져온다
a = '큰고양이'
print(a[::])
#역순
print(a[::-1])
역순 인덱스로도 사용이 가능한데, 다만 무조건 작은 숫자가 앞에 가야한다는걸 유의하자
ex) -3부터 -1까지 가져오는데
[-1:-3] 이렇게 쓰면 안됨
'파이썬 > 파이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리스트 수정, 추가, 삭제 (0) | 2023.08.15 |
---|---|
파이썬 리스트 range(), 인덱싱, 슬라이싱, 연산 (0) | 2023.08.13 |
파이썬 문자열 메소드 정리 (0) | 2023.08.13 |
파이썬 문자열 다루기 기초 (줄 바꾸기, 연산자, .format , f-string) (0) | 2023.08.13 |
파이썬의 연산자와 기본 자료형 (0) | 2023.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