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P ERP BOM의 구조, 구성, BOM 폭발
BOM의 구조
BOM에 전체적으로 적용되는 내용은 헤더에서 정의가 된다
이후 각각의 구성 요소는 Item에서 정의하게 된다
Item의 아래에는 Subitem을 둘 수 있는데 같은 Item이지만 사용하는 위치가 다른 경우 subitem을 지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서 자동차를 생산할 때 엔진에 쓰는 나사와 바퀴의 쓰는 나사가 동일한 경우
Item은 같지만 사용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을 subitem으로 관리한다
subitem은 개별 항목으로 따로 계산되지는 않고 Item에 합산된 수량을 계산하게 된다
Low - level code
Low - level code는 bom에서 가장 작은 단위 수준으로 최하위 재료를 의미한다
위 그림에서 slug가 최하위 재료가 된다
최하위 재료를 기준으로 원가 계산 및 MRP 영역 수립을 진행하게 된다
BOM Explosion (BOM 폭발)
BOM 폭발은 BOM의 구조를 나열한 BOM이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진 BOM 에서 BOM 폭발을 하는 경우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온다
각각의 BOM 폭발을 설명하자면
level-by-level의 경우에는 선택한 레벨에 대한 BOM 전체 구조만 보여준다
위 그림에서는 P1에 대해 1,2 레벨의 BOM 폭발을 진행했다
multilevel BOM 폭발은 특정 레벨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전체 내용을 다 보여준다
위 그림에서는 레벨이 2개 뿐이지만 10레벨 까지 존재한다면
1레벨부터 10레벨까지 그냥 다 보여준다
level - by - level과 multilevel은 레벨 선택 말고도 또 다른 차이가 있는데 그건 바로
어떤 방법으로 구조를 탐색하는지가 다르다는 점이다
level - by - level의 경우에는 특정 레벨을 기준으로 1레벨을 모두 탐색-> 2레벨 진행
순서로 진행된다 알고리즘으로 설명하면 BFS 방식이다
이와 반대로 multilevel은 특정 아이템이 하위 레벨이 있다면 하위 레벨을 끝까지 탐색하고
다시 상위 레벨로 올라와 다음 아이템을 탐색한다
알고리즘으로 설명하자면 DFS 방식이다
BOM 구성
BOM Usage
BOM의 사용 용도를 정의한다 ex) 생산용 BOM, 재고 관리를 위한 BOM, 공정 계획을 위한 BOM, 유지보수를 위한 BOM
BOM Status
BOM이 어떤 상태인지를 정의하여 BOM의 처리를 제어한다
ex) draft 상태인 경우 수정 필요
Alternative Determination
특정 상황에서 다른 BOM을 선택해야 할 때 우선순위를 지정한다
예를 들어서 BOM에 사용되는 자재가 없을 경우 어떤 대체 BOM으로 생산할지를 정한다
Item Categorie
아이템의 카테고리를 지정하여 품목 관리를 한다
ex ) 재고 아이템 , 비재고 아이템 등등